청사진 사역/독서PT69 바울 복음의 심장 여전히 바울이고, 아직도 바울이다. 바울은 여전히 파악중이고, 갈수록 의문이 커져가는 느낌이다. 누구도 바울을 이해했다고 말할 수 없을 것 같은 느낌이다. 겸손하게 바울의 편지들을 읽으며 깨닫는 것으로 만족하는 것이 좋을거 같다. 이 책은 바울 복음의 심장이 이신칭의가 아니라 변화라고 말한다. 개인의 변화, 공동체의 변화, 세상의 변화..이것이 바울 복음의 심장이라는 것이다. 수많은 바울 서신을 해석하면서 이것을 증명하고 있다. 저자가 내린 결론은 제1장에 요약되어 있다. 1)바울은 단지 우리의 무죄 선고뿐만 아니라 우리의 변화까지 그의 설교와 하나님의 개입하심의 목표로 언급한다. 2)하나님은 심판하실 때 외모로 판단하지 않으실 것이므로 이와 같은 변화는 매우 중요하다. 3) 어떤 미듬에 대해 결정을 내.. 2022. 7. 1. 독서 pt 어댑티브 리더십..5부 나를 실험하라 리더십의 발휘를 실험이라는 관점에서 보는 것이 흥미로우면서도 유용한 것이다. 4,5장은 탈진의 문제를 다룬다. 탈진하기 않기 위해서는 실험으로 여기는 것이 중요하다. 실험으로 돌입할 것인가? 해결책을 제시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부분은 실제적이다. 위기와 갈등이 고조되어 있다면 해결책을..그렇지 않으면 실험을.. 탈진하지 않고 계속해서 번성하려면 노력이 필요하다 에너지가 소진될 때까지 일하지 말고 자신을 돌보라. 1. 개인적 지지기반을 키워라. 신뢰할 만한 사람을 찾아라. 조직 밖에서 개인적 욕구를 충족하라. 다양한 공동체에 참여하라. 2. 자신을 안아주는 환경을 만들라 피난처를 만들라. 3.자신을 새롭게 하라 삶의 포트폴리오를 균형있게 구성하라. 매일의 일상에서 소소한 만족을 찾아라. 냉정.. 2022. 6. 20. 스탠리 하우어워스의 교회됨 7-9장 7장 내러티브,성품 그리고 성장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발달론 (지금은 어떤 이론이 가장 많이 이야기 되는가?)으로 충분하지 않다. 현대 기독교는 도덕발달이론을 기독교화하고자 애를 썼다. 하지만 완성의 개념을 발달이론으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종교적 중요성을 되색해 버리는 현상이 생겨나고 말았다. 덕과 성품이라는 개념들이야말로 기독교적 확신에 적합한 도덕을 말해 줄 수 있을 듯싶다.도덕발달이론의 난제들을 성품과 내러티브로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그리스도인은 내러티브를 통해 성숙한다. 톰 라이트는 그리스도인의 미덕에서 순환을 이야기 한다. 성경 —> 이야기 —> 본보기 —> 공동체 —> 실천 —> 성경... 이런 순환을 통해 그리스도인은 성숙해 간다. 8장 가족의 도덕적 가치 가정이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 2022. 6. 16. 독서pt 어댑티브 리더십 읽기 독서pt 어댑티브 리더십 읽기 모임 4권 내면의 현 리더십을 다둘 때 가장 중요한 주제 중에 하는 다. 자기 이해로부터 자신에게 맞는 사역 방식,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많은 리더십 책들은 자기 이해를 기능적으로 다루려는 위험이 있다. 반면에 댄 알렌드는 자기 이해를 이야기로 다루라고 당부한다. 좋을 길잡이가 된다. 이 책은 자신을 시스템으로 바라보라고 한다. "시스템으로서 개인의 행동과 선택은 개인의 내면에서부터 우러나오는 것 뿐 아니라 개인이 속한 조직 환경에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자신이 조직에서 담당하고 있는 역할을 이해해야 하며, 이는 변화를 만들기 위해 자신이 가진 자원과 한계를 파악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하나님은 내 마음에 살아계시고.. 2022. 6. 13. 마음의 혁신 내 마음대로 읽기..달라스 윌라드 읽기 과정 6장 생각의 변화 영성 개발과 사고생활 7장 생각의 변화 영성 개발과 감정 8장 의지 (마음/심령)와 성품의 변화 이 세가지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세가지를 함께 훈련하지 않으면 영적변화, 성품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거나 매우 느리다. 한 사람의 영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도울 때 이 세가지를 활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어떤 면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가? 사고,감정,의지중에 어떤 면에서 약점을 가지고 있는가? 그래서 어떤 부분에서 시작해서, 어떤 부분을 강조해야 하는가? 약점부터 시작할 것인가? 강점부터 시작할 것인가? 생각은 개념과 이미지로 형성된다. 개념과 이미지가 일치하면서 우리 마음을 사로잡으면 생각의 변화과 생각의 희열을 느낀다. 개념과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을 때 생각은 명료하지 못하고, 변화가 .. 2022. 3. 14. 잊혀진 제자도 2부 정리 영성개발과 성품 형성 2부 영성 개발과 성품 형성 6. 영성 개발은 삶 전체와 전인을 위한 것이다. 영성 개발에 대한 오해 바로잡기. 첫번째 주제. 그리스도 안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 영적인 삶이란 무엇인가? 영적인 삶에 대한 7가지 주제와 질문과 대답. 1)그리스도안에 사는 삶은 그분의 가르침에 순종하는 것과 직결된다. 거기서부터 출발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기독교 고유의 영성을 전부 잊어버리는 것이나 마친가지다. —> 그리스도안의 삶과 성경적인 영성은 그리스도께 순종하는 것과 직결된다. 2)그리스도안에 살아 있다는 것은 그 자체가 영적인 일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 안에 사는 삶에는 본질상 영성이 내포된다. 육체는 자연적인 상태 - 인간의 능력이 영적인 도움이나 하나님의 도움을 입지 못한 상태 -를 가리킨다. 영이란.. 2020. 4. 16. 이전 1 ··· 6 7 8 9 10 11 12 다음